코스피 영업이익률 최저, 외국인 자금 유출 우려

코스피 상장사들의 영업이익률이 11년 사이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으며, 외국인 자금 유입이 둔화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금리 동결과 함께 기관 투자자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전문가들은 금리 인하 논의는 하반기부터 본격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코스피 영업이익률 최저 수치 기록

코스피 상장사들의 평균 영업이익률이 2023년에 4.3%로 떨어져 지난 11년 이래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특히 영업이익률이 4%대로 내려간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이는 기업의 수익성 지표에 심각한 부정을 의미한다. 2013년 5.5%에서 2017년 8.5%로 상승한 뒤, 2018년 8.0%, 2019년 5.1%로 하락하면서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5.5%를 유지했으나 이후 다시 감소세를 보였다. 자산총액이 작은 기업일수록 이 현상이 더욱 두드러졌다. 원자재 가격 상승, 금융 비용 부담 증가 및 소비 둔화 등의 다양한 요인들이 기업의 비용 부담을 증가시켰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대기업에 비해 작은 기업들은 공급망 관리 및 원가 절감 시 대응 능력이 떨어져 외부 경제 충격에 쉽게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경향은 특히 자산총액 1000억원 미만 기업에서 평균 영업이익률이 -5.9%로 나타나는 등 극명하게 드러났다. 중소기업의 특수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대기업들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간신히 4.3%에 머무르고 있다. 기업의 투자활동 수익성을 나타내는 총자본순이익률(ROA)은 2년 연속 하락세를 보여, 2023년에는 2.0%를 기록했다. 이는 2021년 4.9%에서 급락한 수치로, 주요 기업들의 전반적인 실적 둔화가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도 우려를 낳고 있다.

외국인 자금 유출 우려 확대

한미 기준금리의 동결로 인해 외국인 자금 유입이 위축될 가능성이 커졌다. 2023년 29일에 발표된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가 4.25~4.50%로 동결되었으며, 한국은행도 16일 기준금리를 3.00%로 유지함에 따라 두 나라 간 금리 차이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일반적으로 투자자들은 금리 차이에 따라 자금을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어, 이러한 상황에서 외국인 자금 유입이 제한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런 재정적 환경 속에서 기관 투자자들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기관 투자자들이 시장에서 수급을 안정적으로 지원하지 않으면, 시장의 불안정성이 더욱 커질 수 있다. 전문가들은 "외국인 수급의 불확실성이 크게 감소한 만큼, 기관과 연기금의 역할이 시장 안정화의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는 향후 국내 증시의 방향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한국은행이 오는 2월 기준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시장의 안정성을 중시하는 한국은행의 입장에서 경기 둔화 우려가 여전한 만큼, 금리 동결 기조는 지속될 것으로 분석된다.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과 국내 경제 성장률 둔화 전망도 금리 인하를 지연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결론

코스피 상장사의 영업이익률이 11년 사이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가운데, 외국인 자금 유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경제 환경 속에서 기관 투자자의 역할이 더욱 두드러질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향후 금리 인하 논의가 하반기부터 본격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향후 투자자들은 이러한 변화에 유의하며, 시장의 동향을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정책 변화나 금리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분석하여 적절한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다. 

신고하기

충남, 소상공인 50만 원 지원

소상공인, 대전시 지원금 받아 가세요!

서울세계불꽃축제 2025 개요와 일정

이미지alt태그 입력